깨끗한 공기! 건강한 삶! 대구가 함께 합니다.

이용안내

1. 자주가는 측정소 설정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실시간대기정보시스템(http://air.daegu.go.kr)에 접속합니다.
  • 우리동네 지정하기를 클릭한 후 측정소 설정을 위한 안내 페이지 화면 캡쳐 이미지
  • 2. 우리동네 측정소 지정하기에서 원하는곳(예:지산동)을 선택한 후 저장 버튼을 누른다. 측정소 설정을 위한 안내 페이지 화면 캡쳐 이미지

2. 미세먼지 예경보 알림서비스 신청방법

홈페이지에서 신청시
  • 컴퓨터에서 http://air.daegu.go.kr 접속하여 상단메뉴에서 [예보경보] - [문자서비스 신청] 버튼을 누르거나 한줄공지전광판 옆의 대기오염경보알람신청, 미세먼지 예보신청 버튼을 눌러 이동합니다. 미세먼지 예경보 알림서비스 신청방법 화면 캡쳐 이미지
  • 본인 핸드폰 번호 등 개인 기본정보를 입력하시고 인증확인 절차를 거쳐야 신청 및 해지가 가능합니다.
    문자서비스는 미세먼지 예보등급이 "나쁨" 또는 "매우 나쁨"일 경우에만 국민에게 발송이 됩니다.(문자발송이 없는 경우 예보등급이 "좋음" 또는 "보통"입니다) 미세먼지 예경보 알림서비스 신청방법 화면 캡쳐 이미지 미세먼지 예경보 알림서비스 신청방법 화면 캡쳐 이미지
모바일 앱에서 신청시
  • 플레이스토어 또는 앱스토어에서 「대구대기정보」 검색하여 설치합니다.
    [SMS신청] 버튼을 눌러 이동합니다. 컴퓨터에서 이용방법과 동일합니다. 미세먼지 예경보 알림서비스 신청방법 화면 캡쳐 이미지
  • 「대구대기정보」 모바일 앱을 이용하시는 경우 대기질의 모든 예·경보 알림이 가능하기 때문에 문자서비스를 중복적으로 신청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3. 우리동네에는 왜 대기오염측정소가 없는 건가요?

지자체에서 관할하는 측정망은 도시대기측정망, 도로변대기측정망, 대기중금속측정망이 있으며 「대기오염측정망 설치운영 지침」에 근거하며 측정소의 설치는 신설과 이전, 폐쇄로 구분합니다. 도시대기측정망의 입지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도시대기측정소는 10만 이상의 도시에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인구 10만 미만인 도시라도 공업시설 등으로 인해 대기질 악화가 우려되는 경우 설치 가능하다.
  • 1개의 측정소를 설치할 경우에는 주거지역 또는 배출원 지역에 설치하되, 배출원 지역이 대기환경기준을 초과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 우선 설치한다.
  • 2개 이상의 측정소를 설치할 경우에는 주거지역 측정소와 배출원 혹은 배출원 혼합지역에 적정하게 배분하여 설치한다.
  • 측정소 간 간격은 4km 이상을 유지하여 측정소 간 중복을 최소화하되, 행정적인 공간 배분을 고려하여 4km 이내라도 설치 가능하다.
  • 미세먼지 예 경보제를 위해 공간분포상 측정소의 신규설치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설치가 가능하다. 대기오염측정소의 신규 확충은 5개년 간 수립한 『대기오염측정망 운영계획(2016~2020년, 환경부)』에 의거 연차별로 설치하게 됩니다.

4. 어린이환경교실 이전 안내

2016년 12월 실시간대기정보시스템이 개편되면서 어린이환경교실이 ( 대구광역시 홈페이지http://daegu.go.kr ) 로 이전되었습니다. 이용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